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816
🚩이진 탐색
문제의 알고리즘 분류를 확인하기 전에 문제를 읽자마자, map.getOrDefault를 활용해 간단히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.
아래는 map.getOrDefault를 사용해 통과한 코드입니다.
import java.io.*;
import java.util.*;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
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BufferedWriter bw = new BufferedWriter(new OutputStreamWriter(System.out));
StringTokenizer st;
StringBuilder sb = new StringBuilder();
HashMap<Integer, Integer> map = new HashMap<>();
int N = Integer.parseInt(br.readLine());
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
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int num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map.put(num, map.getOrDefault(num, 0) + 1);
}
int M = Integer.parseInt(br.readLine());
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
for (int i = 0; i < M; i++) {
int num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if (map.get(num) == null) {
sb.append(0 + " ");
} else {
sb.append(map.get(num) + " ");
}
}
bw.write(sb.toString() + " ");
bw.close();
}
}
문제를 해결한 후 알고리즘 분류를 확인해 보니 이분 탐색이 포함되어 있었고, 이분 탐색으로는 어떻게 풀어야 할지 고민해 봤습니다.
하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감이 잡히지 않아 다른 블로그의 글을 참고했고
그 과정에서 Lower Bound와 Upper Bound를 활용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.
🤔 Lower Bound? Upper Bound?
Lower Bound란 배열에서 찾고자 하는 값이 처음 등장하거나 그보다 큰 값의 위치(이상)를 찾는 역할을 합니다.
Lower Bound 예제
배열: [1, 3, 3, 5, 7]
1. 찾는 값이 존재할 때
- 찾는 값: 3
- Lower Bound 위치: 1 (인덱스, 값은 3)
2. 값보다 큰 값의 위치를 반환할 때
- 찾는 값: 4
- Lower Bound 위치: 3 (인덱스, 값은 5)
Upper Bound란 배열에서 찾고자 하는 값보다 큰 값이 처음 등장하는 위치(초과)를 반환합니다.
Upper Bound 예제
배열: [1, 3, 3, 5, 7]
1. 찾는 값을 초과하는 값의 위치를 반환할 때
- 찾는 값: 3
- Upper Bound 위치: 3 (인덱스, 값은 5)
2. 찾는 값보다 큰 값의 없을 때
- 찾는 값: 7
- Upper Bound 위치: 5 (배열의 끝)
간단히 말하면 lower_bound는 값 이상을 찾고, upper_bound는 값 초과를 찾습니다.
따라서 두 값의 차이를 이용하면 특정 값의 개수를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입니다!
bound 탐색으로 문제를 구현했을 때 헷갈렸던 부분이 일반적인 이진 탐색이랑 구간의 end 부분이 다르다는 것입니다.
e는 end(끝점)이고 N은 배열의 길이입니다.
- 일반적인 이진 탐색 : e = N-1로 시작하고, e = mid-1로 갱신
- bound 탐색 : e = N으로 시작하고, e =mid로 갱신
bound 탐색에서 end를 N-1로 설정하거나 mid-1로 갱신하면 배열의 마지막 원소를 검사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.
구간이 정확하게 나누어지지 않아 무한 루프나 잘못된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.
아래는 bound 탐색으로 통과한 코드입니다.
import java.io.*;
import java.util.*;
public class Main {
static int N;
static int[] arr;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
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BufferedWriter bw = new BufferedWriter(new OutputStreamWriter(System.out));
StringBuilder sb = new StringBuilder();
StringTokenizer st;
N = Integer.parseInt(br.readLine());
arr = new int[N];
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
for (int i = 0; i < N; i++) arr[i]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Arrays.sort(arr);
int M = Integer.parseInt(br.readLine());
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
for (int i=0; i<M; i++) {
int num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int lowerInt = lower_bound(num);
int upperInt = upper_bound(num);
if (lowerInt == upperInt) {
sb.append(0 + " ");
} else {
int gap = upperInt - lowerInt;
sb.append(gap + " ");
}
}
bw.write(sb.toString() + " ");
bw.close();
}
public static int lower_bound(int key) {
int s = 0;
int e = N;
while (s < e) {
int mid = (s + e) / 2;
if (arr[mid] < key) {
s = mid + 1;
} else {
e = mid;
}
}
return s;
}
public static int upper_bound(int key) {
int s = 0;
int e = N;
while (s < e) {
int mid = (s + e) / 2;
if (arr[mid] > key) {
e = mid;
} else {
s = mid + 1;
}
}
return s;
}
}

'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백준] 16139 : 인간-컴퓨터 상호작용 (JAVA) (0) | 2024.12.02 |
|---|---|
| [백준] 1916 : 최소비용 구하기 (JAVA) (2) | 2024.11.13 |
| [백준] 16953 : A -> B (JAVA) (1) | 2024.11.10 |
| [백준] 11054 : 가장 긴 바이토닉 부분 수열 (JAVA) (1) | 2024.11.08 |
| [백준] 13549 : 숨바꼭질 3 (JAVA) (0) | 2024.11.05 |